728x90
반응형
지난 28일 낮 12시 50분경(현지 시각), 미얀마 내륙에서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했습니다. 진앙은 수도 네피도에서 북북서쪽으로 약 248km, 제 2의 도시인 만달레이에서 서남서쪽으로 약 33km 떨어진 지점이며, 진원의 깊이는 10km로 관측되었습니다.
미얀마 내 피해 상황:
- 만달레이 지역: 미얀마 제2의 도시인 만달레이에서는 옛 왕궁과 여러 건물이 파손되었으며, 수도 네피도와 연결된 고속도로 일부 구간도 손상되었습니다.
이번 지진의 진원 깊이가 10km로 매우 얕아 충격파가 완화되지 않았고, 이로 인해 먼 거리에서도 강한 진동이 발생하여 피해를 키운 것으로 분석됩니다. 현재까지 미얀마 군정은 이번 지진으로 인해 1,644명이 사망하고 3,408명이 부상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인접 국가의 피해 상황:
- 태국 방콕: 진원지에서 약 1,300km 떨어진 태국 방콕에서도 강한 진동이 감지되어, 정부 사무실로 사용될 예정이던 건설 중인 30층짜리 고층 건물이 붕괴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최소 12명이 사망, 33명이 부상, 78명이 실종된 상태입니다.
- 베트남 호치민: 베트남 남부 호치민에서도 진동이 느껴져 주민들이 대피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위 붕괴된 건물은 2020년에 착공되어 중국 국영기업인 중국철로공정집단 계열 건설사가 시공을 맡았으며, 2024년 4월에 최상층까지 구조 공사가 완료된 상태였습니다. 사고 당시 내부 설비와 외벽 유리 설치 공사가 진행 중이었습니다. 놀랍게도 방콕 시내의 수많은 건물과 공사 현장 중 유독 이 건물만 붕괴되었습니다. 태국 정부는 이에 대해 시공사인 중국 국영기업 계열 건설사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현재 구조 작업이 계속 진행 중이지만, 잔해가 많이 쌓여 있어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구조대는 탐지견, 크레인, 굴착기 등을 동원하여 생존자 수색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하루빨리 지진에 피해를 입은 많은 분들이 다시 일어서길 기원합니다.
728x90
반응형
'Poli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4. 9. 오늘의 테마 - 조기 대선은 어떻게 치러질까 (3) | 2025.04.09 |
---|---|
2025. 4. 3. 오늘의 테마 - 제주 4 · 3 사건 (0) | 2025.04.03 |
2025. 3. 18. 오늘의 테마 - 캐나다 대통령 (0) | 2025.03.18 |
2025. 3. 12. 오늘의 테마 - 러시아가 전쟁을 끝내지 않는 이유 (1) | 2025.03.12 |
2025. 3. 8. 오늘의 테마 - 포천 민가 오폭 사고 (0) | 2025.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