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5

2025. 04. 17. 오늘의 테마 - 거대한 계산기 오늘날 전세계의 경제와 문화, 그리고 IT 산업의 핵심은 바로 컴퓨터의 등장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는 사실 계산기였다고 합니다. 오늘 테마의 하루는 컴퓨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컴퓨터의 발명과 역사1. 초기 계산 기계 (기원전 ~ 19세기 초)주판(Abacus): 기원전 2,500년경 메소포타미아에서 사용된 가장 초기의 계산 도구.기계식 계산기:1642년: 파스칼(Pascal)의 '파스칼린' — 덧셈, 뺄셈 수행 가능1673년: 라이프니츠(Leibniz)의 계산기 — 곱셈, 나눗셈까지 가능2. 컴퓨터의 개념 등장 (19세기)찰스 배비지(Charles Babbage):1837년: '해석 기관(Analytical Engine)' 설계현대 컴퓨터의 기본 구조(입력, 처리, 출.. 2025. 4. 17.
2025. 4. 16. 오늘의 테마 - 국민안전의 날 오늘은 '국민안전의 날'이 지정된지 11주년이 되는 날입니다. '국민안전의 날'은 과거의 아픔을 기억하고, 미래의 안전을 위한 실천을 다짐하는 날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국민들은 '국민안전의 날'에 대해서 자세히 알지 못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국민안전의 날'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 국민 안전의 날 국민안전의 날은 매년 4월 16일에 지정된 대한민국의 국가기념일로, 2014년 발생한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제정되었습니다. 이 날은 국민의 안전의식을 높이고, 재난과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과 행사가 진행됩니다.​📅 제정 배경과 의미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침몰 사고는 대한민국 사회에 큰 충격을 안겨주었습니다. 이 참사를 계기로 국민의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 2025. 4. 16.
2025. 4. 15. 오늘의 테마 - 세계의 대장(大將)이 되고 싶은 중국 미국과 중국 간의 패권 다툼이 더욱 심화되고 있습니다. 20세기 전 세계를 긴장하게 만들었던 미국과 소련 간의 보이지 않는 전쟁인 일명 냉전(Cold war, 冷戰)시대에는 미국을 중심으로 한 자본주의 진영과 소련을 중심으로 한 공산주의 진영으로 나뉘어 서로 대치되었습니다. 군비 경쟁은 물론 두 진영에 속하지 않은 이른바, 제3세계로의 확장을 시도하기도 했습니다. 최근 중국이 이들과 비슷한 전략을 보여 왔습니다. 전세계를 아우르는 초패권국가 미국에 대항한다는 의미로 내세운 전략, 오늘은 중국의 일대일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일대일로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One Belt One Road, BRI: Belt and Road Initiative)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13년에 제안한 글로벌.. 2025. 4. 15.
2025. 4. 14. 오늘의 테마 - 화석 에너지가 사라져야 하는 이유 우리가 산업혁명 시기부터 기술을 발전해 올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증기 기관의 발명 덕분입니다. 이 증기 기관의 핵심이 되는 것이 바로 우리가 지금까지도 사용하고 있는 화석 에너지입니다. 우리에게 큰 도움을 줬던 화석 에너지가 이제는 우리에게 큰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전통적인 화석 에너지의 종류와 왜 우리가 화석 에너지를 사라지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화석 에너지란?👉 수억 년 전 지구에 살았던 식물과 동물 등의 유기물이 땅속에 묻혀 열과 압력을 받아 만들어진 에너지원입니다.화석 에너지의 주요 종류석탄(Coal)주로 육상 식물이 썩어서 만들어졌습니다.검은색 고체 형태이며, 주로 발전소에서 전기를 생산하거나 제철소에서 철을 녹이는 데 사용됩니다.종류에는 이탄(p.. 2025. 4. 14.
2025. 4. 11. 오늘의 테마 - 사찰에 가면 꼭 있는 세 개의 불상 (2) 어제 테마에 이어서 오늘은 대웅전이 아닌 극락전, 약사전에 삼존불을 모신 사찰과 삼존불 배치가 특별한 사찰들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원래 테마의 하루는 날마다 다른 주제로 글을 구성하는 것이 모토이지만, 뒷 내용을 궁금해하실 분들이 있을 것 같아 바로 붙여서 설명드리겠습니다.여러분, 대웅전이 아닌 극락전, 약사전에 삼존불이 위치하는 경우도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십니까? 🏵️ 극락전 (極樂殿)극락전은서방 극락세계를 주재하는 아미타불을 본존으로 모시는 법당입니다.🌸 삼존불 구성본존: 아미타불 (阿彌陀佛)좌협시: 관세음보살 (觀世音菩薩)우협시: 대세지보살 (大勢至菩薩)의미:아미타불께서는 중생을 극락정토로 인도하여 해탈하게 해주시는 부처님입니다.관세음보살은 자비를, 대세지보살은 지혜를 상징합니다.극락전 .. 2025. 4. 11.
2025. 4. 10. 오늘의 테마 - 사찰에 가면 꼭 있는 세 개의 불상 (1) 주말이나 공휴일, 우리는 산으로 나들이갈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면 한번씩 들리는 곳이 있습니다. 바로 사찰, 즉 절(寺)입니다. 우리는 다른 종교 신자가 아닐 경우, 대개 사찰 중앙에 위치한 대웅전(大雄殿)에 들어가서 절 3배를 할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절하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앞을 바라보면 세 개의 불상이 우리를 맞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이 세 불상이 각각 누구를 상징하는지와 왜 이 불상들이 절의 중심에 앉아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웅전에 위치한 세 불상의 이름, 삼존불대웅전에는 보통 삼존불(三尊佛)이 봉안되어 있습니다. 삼존불은 사찰별 조금씩 다르지만 대체로 비슷한 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대웅전의 세 불상본존불 -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대웅전 중앙에 모셔진 부처.. 2025. 4. 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