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y

2025. 06. 02. 오늘의 테마 - 지하철과 고속철의 사이 그 어딘가, GTX

by 테마의 하루 2025. 6. 2.
728x90
반응형

수도권 지하철을 단어 하나로 설명하자면, 바로 '지옥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출퇴근 시간에 많은 유동인구로 인해 교통 혼잡 및 불편을 겪어 왔습니다. 그에 대한 대책으로 나온 해결방안이 바로 '광역급행철도'의 도입입니다. 오늘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TX가 무엇이고 현재 진행상황은 어떠한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TX: Great Train eXpress)

✅ 개요

GTX는 수도권 외곽에서 서울 도심까지 빠르게 연결하는 고속 지하철입니다. 일반 지하철보다 훨씬 빠른 최고 시속 180km로 달리며, 수도권 교통난 해소를 목표로 한 국책 철도 사업입니다.


📍 노선 정보

노선 주요 구간 상태
GTX-A 파주 운정 ↔ 동탄 (삼성역 포함) 일부 공사 중, 2024년 일부 개통
GTX-B 인천 송도 ↔ 남양주 마석 2025년 착공 예정, 2030년 개통 목표
GTX-C 수원 ↔ 양주 덕정 2024년 착공 예정, 2032년 완공 목표
 

🚧 향후 D, E, F 노선도 검토 중입니다. (G, H는 GTX 플러스)


🕐 속도 & 시간 절약 예시

출발지 → 도착지 기존 소요 시간 GTX 이용 시
동탄 → 삼성역 약 1시간 30분 약 20분
일산 → 서울역 약 1시간 약 20분

🎯 목적과 기대 효과

  • 수도권의 만성적인 출퇴근 지옥 해소
  • 서울 접근성 향상 → 부동산 가치 상승 기대 지역 다수
  • 도심 집중 완화 및 교통 분산 효과

❗️이슈 및 논란

  • 노선 변경 논란: 정차역 추가나 미정차로 인한 지역 간 갈등
  • 부동산 과열: GTX 정차역 주변 투기 및 가격 폭등
  • 공사 지연: 예산 문제, 환경영향평가 등으로 일정 차질

📌 요약 정리

  • GTX란? 수도권 고속 지하철
  • 왜 만드나? 출퇴근 시간 단축, 교통 개선
  • 현재 상황은? A노선 일부 구간만 시운전, B·C는 착공 준비 중
  • 문제점은? 정차역 논쟁, 공사 지연, 부동산 문제 등

🚄 긍정적인 반응: "출퇴근 혁명"

  • 이동 시간 단축: 파주 운정에서 서울역까지 약 22분, 동탄에서 수서까지 약 20분으로 기존 대비 절반 이상 단축되어 많은 승객들이 만족감을 표했습니다.
  • 쾌적한 환경: 고속 운행에도 불구하고 소음과 진동이 적어, 서서 이동하는 승객들도 큰 불편을 느끼지 않았습니다.
  • 생활의 질 향상: 출퇴근 시간이 줄어들면서 여유 시간이 늘어나 가족과의 시간이나 개인 활동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게 되었다는 반응도 있었습니다. 

우선으로 생각했던 출퇴근 문제 해소는 다행히 성공한 모양입니다. 하지만 이용률이 저조해서 아직은 큰 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은 사실입니다. 특히 배차 간격이 17분 정도로 수도권치고는 꽤 길어 불편을 겪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 기존 지하철 및 철도와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일부 역 승강장이 지하 4층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오히려 승하차 후 지상으로 올라오는 시간이 더 소요된다는 지적 또한 있습니다. 하지만, 전 구간이 개통된다면 이용자 수는 크게 증가할 예정이고 이동 시간이 단축된다는 점이 확실히 부각될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의 테마였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