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44

2025. 05. 02. 오늘의 테마 - 유심(USIM)? 이심(eSIM)? 최근 SK텔레콤(SKT)의 유심(USIM) 정보 해킹 사건이 발생하여 전국적으로 큰 혼란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이 사건은 단순한 개인정보 유출을 넘어 사용자의 모바일 신원(Mobile Identity) 자체가 탈취당할 수 있는 심각한 보안 위협으로 평가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SK텔레콤에서 발생한 사건과 현재 진행상황을 비롯해, 논란의 주체인 유심칩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건 개요2025년 4월 18일, SK텔레콤은 유심 정보를 보관한 서버가 해킹당한 사실을 처음 파악했습니다. 그러나 나흘이 지난 22일에야 언론에 이를 알렸고, 이로 인해 초기 대응의 미숙함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습니다. 해킹으로 인해 유출된 정보에는 유심 인증키(KI), 이동가입자식별번호(IMSI),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 2025. 5. 2.
2025. 05. 01. 오늘의 테마 - 근로자? 나는 과연 근로자인가? 오늘은 법정공휴일은 아니지만, 근로자들은 쉴 수 있는 날, 바로 근로자의 날입니다. 근로자의 기준은 놀랍게도 대한민국 법률에 정확하게 명시되어 있습니다. “임금을 목적으로 사업이나 사업장에 고용되어 일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하지만 근로자로 인정받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에 대해서 우리는 잘 알지 못할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근로자의 날을 맞이하여 근로자로 인정받는 기준과 왜 근로자의 날이 제정되었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근로자의 날(勞動節)은 노동자의 권리와 노고를 기념하고 존중하는 날입니다. 한국에서는 매년 5월 1일에 지정되어 있으며, 법정공휴일은 아니지만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는 포함되지 않으면서도 대부분의 근로자에게 유급휴일로 적용됩니다. 이는「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 2025. 5. 1.
2025. 04. 30. 오늘의 테마 - 하나의 중국, 보이지 않는 적들 지난 시간 '만두' 편에 이어서 오늘은 중국의 공정과 관련해서 설명을 드리고자 합니다. 중국은 일대일로를 통한 물질적 수단 이외에도 역사 공정들을 통해 정신적 수단으로 자국 소수민족들을 비롯해 여러 국가들에게 지배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중국이 시행 중인 역사 공정의 종류와 이에 대한 내외부의 반응들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합니다.중국의 역사 공정1. 개념 정의'역사 공정(歷史工程)'이란, 중국 정부가 국가적 차원에서 추진하는 "역사 재구성 및 재해석 프로젝트"를 뜻합니다.목표는 단순한 역사 연구가 아니라,→ '정치적 목적(통일성 강화, 민족 정체성 확립, 주변국과의 갈등 관리)'을 위해 과거를 재정리하는 것입니다.중국은 자국 안의 다양한 민족과 지역을 '하나의 중국(一個中國)'으로 묶기 위.. 2025. 4. 30.
2025. 04. 29. 오늘의 테마 - 우리나라 만두 대한민국 기업인 CJ제일제당이 미국 특허청에 비비고 만두의 모양과 관련된 디자인 특허를 취득했습니다. 이는 시계 방향으로 빚은 14개에서 16개의 나선형 주름 형태와 같은 만두의 디자인적 특성을 구체적으로 규정한 것으로, 특허 보호 기간은 15년입니다. CJ제일제당은 이 만두 모양 특허가 대량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끝부분 깨짐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등록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유감을 표현한 곳이 있습니다. 바로 중국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대한민국 만두가 각광받게 된 이유와 왜 중국에서 이에 대해 유감을 표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대한민국 만두가 각광받게 된 이유1. 풍부한 맛과 식감한국식 만두는 속 재료가 매우 다양합니다. 고기, 채소, 두부, 김치 등 다양한 재료가 조화롭게 어우러져.. 2025. 4. 29.
2025. 04. 28. 오늘의 테마 - 푸른 이빨 오늘의 테마는 현대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기술, 블루투스입니다. 블루투스 이어폰의 등장은 혁신적이었습니다. 우리가 지금 쓰고 있는 스마트폰에서 3.5mm 헤드폰 단자를 없애는 데에 큰 역할을 하기도 했습니다. 블루투스 기능은 이어폰 뿐만 아니라 다양한 곳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블루투스의 어원, 발전, 사용 분야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블루투스의 어원'블루투스(Bluetooth)'라는 이름은 10세기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통합한 바이킹 왕, '하랄드 블루투스(Harald "Bluetooth" Gormsson)' 의 이름에서 유래했습니다. 하랄드 왕은 여러 부족과 나라를 하나로 통합한 업적이 있는데, 이와 비슷하게 블루투스 기술도 여러 기기와 통신 방식을 하나로 연결하는 기술을 목표로 삼았기.. 2025. 4. 28.
2025. 04. 25. 오늘의 테마 - 세종시 = 행정수도? 현재 조기 대선이 치러질 예정인 상황에서 대선 후보들의 공약 중 공통된 의견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대통령실 이전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국민의 힘' 예비대선후보 중 일부는 청와대로 다시 돌아가거나 용산의 대통령실을 다른 곳으로 옮겨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더불어민주당' 예비대선후보들은 동일한 의견이 나옵니다. 바로 세종시로의 행정 수도 이전입니다. 오늘은 진행 배경과 불가한 이유, 왜 다시 논의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세종시 수도설이 나온 배경1. 수도권 집중 문제 해결서울과 수도권에 인구, 행정, 경제, 문화 기능이 과도하게 집중되어 국가 균형 발전에 문제가 생김.지방은 쇠퇴하고 수도권은 과밀화되는 현상 → 행정기능 분산 필요성 제기2. 노무현 정부의 ‘행정수도 이전’ 추진2002~200.. 2025. 4. 25.
728x90
반응형